공란으로 502개 검색됨
ARTICLE (388)
- 윤상 - 한걸음 더 | ryakemag
< Back 윤상 - 한걸음 더 MUSIC 1998년 이소라의 프로포즈에서의 윤상, ‘한걸음 더’ 입니다. ‘한걸음 더’는 윤상이 직접 작곡하고 박창학이 작사한 곡으로, 윤상의 데뷔앨범의 수록곡으로 ‘이별의 그늘’, ‘남겨진 이야기’와 함께 크게 히트한 곡입니다. 윤상은 여러 오디션 프로그램에서의 심사위원으로 익숙하실텐데요. 윤상은 천재 뮤지션이자 프로듀서로 대중 뿐만 아니라 음악인들 가운데서도 많은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작곡가 겸 베이시스트로 활동하던 윤상은 우연히 데뷔 제안을 받고 자신이 만들고 싶던 음악을 위한 장비 구매를 위해 이를 수락했습니다. 이후 1990년에 1집 앨범을 통해 가수로 데뷔하는데요. 데뷔부터 윤상 1집 음반은 90만 장에 가까운 판매고를 올리며 크게 성공했고, 윤상은 도시적이고 예술가적인 외모에 아이돌에 가까운 연예인 생활을 하게 되죠. 하지만 스튜디오 뮤지션을 꿈꿔왔던 윤상에게 이러한 인기는 오히려 부담이었다고 합니다. ‘한걸음 더’는 30년 전 곡이지만 지금 들어도 세련된 시티팝 느낌이 물씬 나는 음악인데요. 가사와 리듬, 멜로디가 하나로 조화롭게 이루어져 있는 것에서 음악의 완성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사운드적으로 완성을 추구하는 윤상의 면모를 해당 곡에서도 느낄 수가 있네요. 가사에는 바쁜 살아가는 도시인에게 꼭 필요한 말이 담겨 있는데요. 그 위에 윤상의 부드러운 음색이 얹혀져 마음 한켠을 따뜻하게 하는 위로를 건네 줍니다. 잠깐 동안 멈춰서서 하늘을 보는 순간을 잠시 만들어보는 것이 나에게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작은 선물이지 않을까요. KBS 이소라의 프로포즈 Copy comments debug 댓글 Log In 댓글을 입력하세요. 댓글을 입력하세요. Share Your Thoughts Be the first to write a comment.
- H.O.T. - Candy (캔디) | ryakemag
< Back H.O.T. - Candy (캔디) MUSIC 1996년 MBC 베스트 인기가요 50에서의 H.O.T. ‘Candy’입니다. Candy는 1996년에 발매한 [H.O.T.]( https://namu.wiki/w/H.O.T.)의 정규 1집 앨범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 타이틀곡 ' 전사의 후예 '에 이은 후속곡입니다. 헤어짐을 고민하는 가사이지만 H.O.T.만의 발랄함과 밝은 멜로디에 노래를 즐기게 되는데요. 당시 각종 음악방송에서 1위만 18번을 기록하며 엄청난 팬덤과 인기를 끌었습니다. 또한 귀여운 패션 아이템으로 전국에 H.O.T. 신드롬을 일으키면서, 국민 아이돌으로 등극했습니다. 안무로도 굉장히 유명한데요. 문희준 의 파워레이서 춤이나 후렴구의 캔디춤을 학창시절 한번 쯤 따라해본 기억이 있을 것 같네요. 이 노래는 아이돌 레전드 곡답게 많은 후배 아이돌들이 공식적으로 커버를 많이 하는 곡입니다. 특히 2022년 크리스마스에 SM의 후배 그룹인 NCT DREAM 이 리메이크 버전을 발매했는데 각종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어린 팬층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K-POP 역사에 한 획을 그은 H.O.T.의 Candy 무대는 지금 나오더라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만큼 세련되고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MBC 베스트 인기가요 50 Copy comments debug 댓글 Fazer login 댓글을 입력하세요. 댓글을 입력하세요. Compartilhe sua opinião Seja o primeiro a escrever um comentário.
- 꿈과 책과 힘과 벽 | ryakemag
< Back 꿈과 책과 힘과 벽 MUSIC 2021년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가수 ‘잔나비’가 ‘꿈과 책과 힘과 벽’을 부르는 모습입니다. ‘꿈과 책과 힘과 벽’은 19년 발매한 앨범 ’전설’의 수록곡으로 현실을 알아가는 청춘의 이야기를 담은 곡입니다. ‘잔나비’의 보컬 ‘최정훈’은 자신의 블로그 글에서 이 곡의 가사를 ‘오직 그 시절에만 쓸 수 있었을 유일의 가사’라고 평가하기도 했죠. 나도 모르는 새 ‘어른’이라는 버거운 단어가 등에 지워진 한 청춘의 고민과 깨달음의 과정을 ‘잔나비’ 특유의 담담함과 ‘최정훈’만의 목소리로 풀어가며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여러 사람들을 위로하고 달래주었죠. 무엇이든 가능할 것 같던 어린시절 가졌던 꿈은 시간이 지나 세상을 조금씩 알아가며 그와 비례해 서서히 작아집니다. 그러다 언젠가 아주 작은 불빛만을 남긴 채 희미할 정도로 작아지곤 하죠. 그리고 우리는 이걸 ‘어른스러움’이라고 표현합니다. 내일이면 하루 더 어른스러워질 우리를 응원합니다. 무덤덤한 눈빛을 기억해 어릴 적 본 그들의 눈을 우린 조금씩 닮아가야 할 거야 KBS 유희열의 스케치북 Copy comments debug 댓글 Log In 댓글을 입력하세요. 댓글을 입력하세요. Share Your Thoughts Be the first to write a comment.
ROMANTIC SQUARE (114)
- 여러분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카테고리: 이벤트·2023년 12월 1일[종료된 이벤트] 반갑습니다, 독자 여러분. 리에이크 매거진 입니다. 요즘 들어 부쩍 신청곡을 보내주시는 분이 많았습니다. 리에이크와 함께 낭만과 취향을 나누고 싶은 분들이 많이 계신 것 같아 기쁜 마음입니다. 좋은 노래,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자, 여러분의 사연을 받아보고자 합니다. 첫 번째 주제는 [겨울에 한 사랑 이야기] 입니다. 슬픈 사랑, 기쁜 사랑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사연을 남겨주시면 6분을 골라 리에이크 매거진에서 소개드릴 예정입니다. 리에이크의 마음을 담은 작은 선물도 준비했으니, 많이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사연 보내는 방법 리에이크 매거진 홈페이지(Romantic Square), 인스타그램 게시글 혹은 댓글로 여러분의 사연과 신청곡을 남겨주세요. • 유의사항 게시글로 업로드 하신다면, 리에이크 매거진을 꼭 태그해주세요. DM으로 보내주신 사연은 접수되지 않습니다. • 작은 선물 사연을 남겨주신 분들 중 선정된 여섯 분의 사연은 리에이크 매거진에 소개됩니다. 작은 선물 리에이크 맨투맨도 보내드립니다. 리에이크 매거진 홈페이지(3명) 인스타그램 (3명) #리에이크매거진 #사연이벤트121408
- 당신의 사연을 들려주세요카테고리: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2024년 1월 31일리에이크 매거진에서 3월을 마무리하며 여러분의 ‘시작’과 관련된 사연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나의 시작’ 혹은 ‘응원하고 싶은 누군가의 시작’을 신청곡과 함께 보내주세요.] DM과 리에이크 매거진 홈페이지 [Romantic Square]를 통해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내용이 긴 사연은 홈페이지를 활용해주세요.) 보내주신 신청곡은 유튜브 채널에서 플레이리스트로 사연과 함께 공개됩니다. 감사합니다. #리에이크매거진 #신청곡41356
- 당신에게카테고리: 사연 신청·2023년 12월 6일스물하나에 당신과 처음 마주했던 내가 어느덧, 스물셋 끄트머리에 홀로 남아 당신에게 마지막 편지를 보냅니다. 우리가 안녕을 이야기한지도 벌써 몇 달의 시간이 흘렀군요. 지금 당신은 나를 어떻게 기억하고 계신가요. 어쩌면 나를 온전히 떠나보낸 채 행복하신가요. 내 존재만으로 사랑을 받아본 건 처음이어서. 당신의 그 무조건적인 사랑은 내게 있어 너무나도 큰 마음이어서 지레 겁을 먹었습니다. 그러나 당신, 알고 계셨나요? 나 잠든 당신의 포근한 품에 파묻혀, 세상 무엇이든 해낼 것만 같은 그 두툼한 몸 속 숨어있는 굽은 척추를 훑어내리며. 내가 당신을 사랑한다는 게, 그리고 당신이 나를 사랑한다는 게 너무나도 행복해 얼마나 많은 눈물 흘렸는지요. 하지만 당신의 그 큰 마음을 받기에 나는 너무나도 어렸고, 또 미숙하고 서툴렀기에. 견고한 줄로만 알았던 우리의 사랑은 사실 현실의 벽 앞에 너무나도 미약한 것이었기에. 당신은 마침내 나를 떠나갔습니다. 당신, 이제는 욕심내지 않겠습니다. 우리의 사랑을 망가뜨린 당신의 비겁을, 이기적인 내가 그러하였듯 스스로를 가장 연민할 수밖에 없었던 언니의 마음을. 그저 받아들이겠습니다. 자격은 없지만 감히 함부로, 당신과 언니를 용서해요. 그러니 이제는 부디 행복하길 바라요. 그러나 당신, 마지막으로 부탁이 있다면 우리가 한 것 또한 사랑이었다는 것만큼은 기억해줘요. 김광진, <편지>312110